맨위로가기

코코스 말레이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코스 말레이어는 코코스 제도에서 사용되는 말레이어의 방언이다. 자바어, 호키엔어 등의 영향을 받았으며, 고유한 단어와 문법적 특징을 보인다. 주요 특징으로 자바어 차용어, 호키엔어 유래 1인칭 및 2인칭 단수 대명사, 사동 동사, 진행형 조사, 소유격 조사, 그리고 3인칭 불특정 대명사 등을 사용한다. 음운 체계는 모음과 자음으로 구성되며, 표준 말레이어와 비교하여 구개수음의 존재, 특정 자음의 부재, 그리고 [h]의 생략과 같은 차이점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레이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베타위어
    베타위어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다양한 언어에서 어휘를 차용하고 코코스 말레이어의 기원이 되었으며, 원말레이어 방언 또는 크리올어에서 기원했다는 두 가지 견해가 존재한다.
  • 말레이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마나도 말레이어
    인도네시아 북술라웨시주 마나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마나도 말레이어는 19개의 자음과 5개의 모음으로 이루어진 음운 체계, 독특한 문법 체계, 그리고 포르투갈어와 네덜란드어에서 유래한 차용어를 특징으로 하는 말레이어 방언이다.
  • 말레이어군 - 미낭카바우어
    미낭카바우어는 서수마트라를 중심으로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일부 지역에서 약 550만 명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이며, 여러 방언이 존재하고 아감-타나 다타르 방언이 표준어 역할을 한다.
  • 말레이어군 - 이반어
    이반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보르네오섬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사라왁 말레이어 및 말레이어와 관련이 깊고, 구글 번역에도 지원이 추가되었다.
코코스 말레이어
일반 정보
사용 국가오스트레일리아
말레이시아
사용 지역코코스 (킬링) 제도
사바주
사용자 수오스트레일리아 1,060명 (1987–2012)
언어 계통크리올
말레이어 기반 크리올
문자라틴 문자 (말레이 문자)
ISO 639-3coa
Glottologcoco1260
Glottolog 명칭코코스 제도 말레이어
인구 통계
말레이시아 사용자 수4,000명 (2000년)
언어 코드
ISO 639-3coa

2. 특징

코코스 말레이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자바어의 영향을 받았다.
  • 호키엔어에서 유래된 1인칭 및 2인칭 단수 대명사로 gua|구아coa, lu|루coa를 사용한다.[5]
  • 사동 동사로 kasi|카시coa를 사용한다.[5]
  • Ada|아다coa는 "…이 있다"는 뜻 외에 진행형을 나타내는 조사로도 사용된다.[5]
  • 소유격 조사로 punya|푼야coa를 사용한다.[5]
  • 3인칭 불특정 대명사 ong|옹coa은 orangms "사람"에서 유래했다.[5]

2. 1. 차용어

자바어의 영향을 받은 단어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cucut|추춧coa "상어", kates|카테스coa "파파야", walikat|왈리캇coa "어깨뼈" 등이 있다. 호키엔어에서 유래한 1인칭 및 2인칭 단수 대명사로는 gua|구아coa, lu|루coa가 사용된다.[5]

2. 2. 동사 및 조사


  • 사동 동사로 kasicoa가 사용된다.[5]
  • Adacoa는 "…이 있다"는 뜻 외에 진행형을 나타내는 조사로도 사용된다.[5]
  • 소유격 조사로 punyacoa가 사용된다.[5]

2. 3. 대명사

코코스 말레이어의 대명사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1인칭 및 2인칭 단수는 호키엔어에서 유래된 guacoa, lucoa를 사용한다.
  • 3인칭 불특정 대명사 ongcoa은 orangms "사람"에서 유래했다.[5]

3. 음운

코코스 말레이어의 음운은 모음과 자음으로 나뉜다.

하위 섹션에서 이미 자세하게 다루고 있으므로, 코코스 말레이어가 말레이어인도네시아어와 구별되는 세 가지 주요 특징만 간략하게 언급한다.[6]

# 코코스 말레이어에는 항상 모음 사이에 나타나는 구개수음 [ʁ]이 있지만, 표준 말레이어나 인도네시아어에는 없다.

# 표준 말레이어에 나타나는 특정 자음 [f v ʃ z]는 코코스 말레이어에 없다.

# 세 언어에서 [h]와 관련하여, 코코스 말레이어의 [h]는 특히 단어 처음에 자주 생략된다.

표준 말레이어코코스 말레이어영어 번역
[ˈhisap˺][ˈisap˺]'빨다'
[ˈhuta̪ n][ˈuta̪ n]'숲'
[ˈhiduŋ][ˈiduŋ]'코'
[ˈhaus][ˈaus]'목마른'


3. 1. 모음


3. 2. 자음

코코스 말레이어 자음 표[6]
양순음치음치경음권설음경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성문음
파열음 &
파찰음
p       bt̪              dtʃ     dʒk       g      (ʔ)
비음        m        n      ɲ        ŋ
마찰음s              ʁ      (h)2
접근음        w      j
설측 접근음      l



코코스 말레이어는 말레이어인도네시아어와 다음 세 가지 면에서 다르다.[6]

# 코코스 말레이어에는 항상 모음 사이에 나타나는 구개수음 [ʁ]이 있지만, 표준 말레이어나 인도네시아어에는 없다.

# 표준 말레이어에 나타나는 특정 자음 [f v ʃ z]는 코코스 말레이어에 없다.

# 세 언어에서 [h]와 관련하여, 코코스 말레이어의 [h]는 특히 단어 처음에 자주 생략된다.

표준 말레이어코코스 말레이어영어 번역
[ˈhisap˺][ˈisap˺]'빨다'
[ˈhuta̪ n][ˈuta̪ n]'숲'
[ˈhiduŋ][ˈiduŋ]'코'
[ˈhaus][ˈaus]'목마른'


3. 3. 표준 말레이어와의 음운 차이

코코스 말레이어는 말레이어인도네시아어와 다음과 같은 음운 차이를 보인다.[6]



코코스 말레이어는 말레이어인도네시아어와 세 가지 면에서 다르다.[6]

1. 코코스 말레이어에는 항상 모음 사이에 나타나는 구개수음 [ʁ]이 있지만, 표준 말레이어나 인도네시아어에는 없다.

2. 표준 말레이어에 나타나는 특정 자음 [f v ʃ z]는 코코스 말레이어에 없다.

3. 세 언어에서 [h]와 관련하여, 코코스 말레이어의 [h]는 특히 단어 처음에 자주 생략된다.

표준 말레이어코코스 말레이어영어 번역
[ˈhisap˺][ˈisap˺]'빨다'
[ˈhuta̪ n][ˈuta̪ n]'숲'
[ˈhiduŋ][ˈiduŋ]'코'
[ˈhaus][ˈaus]'목마른'


4. 예시 문장

Setiap minggu orang pergi tengok dia, pergi ronda. Masa ayer surut boleh jalan, masa ayer pasang naik perahu, kalau ada ikan jahat, macam jerung, masuk dalam kolam, kacau dia punya penyu atau ikan, tangkap bunoh. Segala macam ikan ada dalam. Ada dua pintu, sebenarnya, perahu boleh masok.|매주 사람들은 그것들을 확인하러 갔고, 순찰을 돌았습니다. 썰물 때는 걸어서 건널 수 있었고, 만조 때는 배를 탈 수 있었는데, 상어와 같은 놈이 연못에 들어와서 안에 있는 거북이나 물고기를 괴롭히면 잡아 죽이기 위해서였습니다. 그 안에는 온갖 종류의 물고기들이 있었거든요. 사실 문이 두 개 있었고, 배가 들어올 수 있었습니다.ms

참조

[1] 서적 Atlas of language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the Pacific, Asia and the Americas 1996
[2] 간행물 Cocos (Keeling) Islands: Language Situation 2006
[3] 서적 Out of Sight, Out of Mind… and Out of Line: Language Education in the Australian Indian Ocean Territory of the Cocos (Keeling) Islands Multilingual Matters 2012
[4] 논문 Cocos Malay language since integration with Australia http://dro.deakin.ed[...] 2020-04-24
[5] 문서 Malay in the Cocos (Keeling) Islands 1996
[6] 논문 Cocos Malay 2014
[7] 웹사이트 Cocos Malay https://www.cambridg[...] 2023-03-18
[8] 웹사이트 Cocos Malay https://www.ethnolog[...]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